제1편 부동산학 총론
제1장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
제1절 부동산학의 기초
1. 정의
1) 토지 -- 소유
이용 : 최유효이용
2) 김영진교수 : 부동산학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
2. 성격
1) 응용과학 : 순수과학 X
2) 경험과학 : 추상적 X , 현실의 부동산활동을 대상 O
3) 종합과학 : 여러 분야의 학문과 연계
4) 규범과학 : 판단기준을 제시
5) 사회과학 : 자연물인 토지와 인간의 상호관계를 연구
3. 부동산학의 지도이념
1) 일반적 지도이념
① 효율성 : 희소한 토지 ⇨ 낭비, 방치 X ⇨ 최유효이용(=최고최선의 이용 추구)
② 형평성 : 토지소유권의 폭넓은 배분
※ 부동산학에서 추구하는 최우선 가치는 효율성 O
그러나 사회전체적으로는 형평성도 중시 ⇒ 결론적으로 효율성과 형평성의 적절한 균형 중요
2) 부동산학의 지도이념
① 공익과 시익의 조화 원리 (법률적 측면)
② 효율적 관리의 원리 (경제적 측면)
③ 공간 및 환경가치 증대의 원리 (기술적 측면)
4. 부동산의 복합개념
1) 법률
2) 경제
3) 기술
5. 부동산학의 연구대상 및 분야
1) 연구대상
① 부동산 활동 (원인) : 이용, 개발, 관리 등
② 부동산 현상 (결과) : 경기변동, 건물의 수명현상 등
↳ 신축 - 안정 - 노후 - 폐물
2) 연구분야 (부동산 환경)
① 부동산학 → 부동산 환경 연구
6. 부동산학의 접근방법
1) 분산식, 중점식, 종합식 접근방법
↳ 우리나라 부동산학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착시키는데 기여
2) 행태과학적, 현상학적, 법·제도적, 의사결정 접근방법
① 의사결정접근방법
-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분석에 초점
- 인간은 합리적 존재이며 자기 이윤의 극대화를 목표로 논리적·합리적으로 행동
※ 근래 세계화, 개방화에 기인하여 법·제도적인 관점보다 의사결정접근방법이 지지 ○
7. 부동산 활동
1) 부동산활동의 분류
① 소유활동 : 최유효이용을 지도원리
② 거래활동
③ 행정활동
④ 부동산활동 주체 : 공적주체 (제1섹터), 사적주체 (제2섹터), 공적+사적주체 (제3섹터)
㉠ 공적주체 : 정부, 지자체, 공기업 등
관리, 규제, 보조, 과세 등
㉡ 사적주체 : 개인, 민간기업, 토지소유자 등
㉢ 공적+사적주체
2) 부동산활동의 속성
① 과학성(이론) + 기술성(실무) 의 양면성
② 사회성·공공성과 사익성의 조화
↳ 근거 : 부동산은 경제적 비중이 큰 경제재 등
③ 전문성
④ 윤리성
⑤ 정보활동 필요
⑥ 대인 및 대물 활동
⑦ 임장활동 (현장확인)
⑧ 배려의 장기성
⑨ 공간활동 : 수평공간뿐 아니라 입체공간도 포함. (수평, 공중, 지하)
⑩ 복합개념 : 법률, 경제, 기술
8.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부동산업
대분류 |
중분류 |
소분류 |
세분류 |
부동산업 |
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|
부동산 임대업 |
주거용 건물 임대업 |
비주거적 건물 임대업 |
|||
기타 부동산 임대업 |
|||
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|
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|
||
비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|
|||
기타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|
|||
부동산관련 서비스업 |
부동산 관리업 |
주거용부동산 관리업 |
|
비주거용부동산관리업 |
|||
부동산중개·자문 및 감정평가업 |
부동산 중개 및 대리업 |
||
부동산 투자자문업 |
|||
부동산 감정평가업 |
![](https://tistory4.daumcdn.net/tistory/900372/skin/images/Naver.png)
![](https://tistory4.daumcdn.net/tistory/900372/skin/images/Google_Plus.png)
![](https://tistory4.daumcdn.net/tistory/900372/skin/images/Twitter.png)
![](https://tistory4.daumcdn.net/tistory/900372/skin/images/Facebook.png)
![](https://tistory4.daumcdn.net/tistory/900372/skin/images/Kakao_Story.png)
![](https://tistory4.daumcdn.net/tistory/900372/skin/images/Kakao.png)
* 에듀랜드의 공인중개사 강의와 서브노트를 참고하였습니다.
'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6 - 수요와 공급 (0) | 2020.09.23 |
---|---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5 - 공급 (0) | 2020.09.23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4 - 부동산 경제론 (0) | 2020.09.23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3 - 부동산 특성 (0) | 2020.09.22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2 -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(1) | 2020.09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