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. 수요의 소득탄력성
1) 의의 : 절대값 X, 부호 중요
2) 재화의 구분
① 소득탄력성 〉0 : 정상재 (+)
ex) 소득 10% 증가, 수요량 8% 증가 ⇨ 소득탄력성 + 0.8
② 소득탄력성〈 0 : 열등재 (-)
ex) 소득 10% 증가, 수요량 8% 감소 ⇨ 소득탄력성 - 0.8
4. 수요의 교차탄력성
1) 의의 : 절대값 X, 부호 중요
2) 재화의 구분
① 교차탄력성 〉0 : 대체재 (+)
ex) 아파트(X재) 10% 증가, 빌라(Y재) 5% 증가 ⇨ 교차탄력성 + 0.5
② 교차탄력성〈 0 : 보완재 (-)
ex) 아파트(X재) 10% 증가, 빌라(Y재) 5% 감소 ⇨ 교차탄력성 - 0.5
※ 소정열 / 교대,교보
※
[예제]
1) 소형아파트 임대료 16% 상승, 소형아파트 수요량 4% 감소, 오피스텔 수요량 8% 증가 시
소형아파트 임대료 탄력성은? 그리고 소형아파트와 오피스텔의 관계는 ?
[해설]
소형아파트 임대료탄력성 = 4/16 = 0.25
교차탄력성 = 8/16 = 0.5 (+)이므로 대체재이다.
5. 공급의 가격탄력성★
1)
탄력성크기 |
용어 |
예 |
ε = 0 |
완전비탄력적 |
수직선 |
0〈ε〈1 |
비탄력적 |
기울기가 크다 (농산품) . Q에서 출발 |
ε= 1 |
단위탄력적 |
공급곡선이 원점에서 출발 |
1〈ε〈∞ |
탄력적 |
기울기가 작다 (공산품) . P에서 출발 |
ε= ∞ |
완전탄력적 |
수평선 |
2) 크기
3) 공급탄력성의 결정요인★
① 측정기준이 되는 단위시간 : 단기 - 비탄력적, 장기 - 탄력적
②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 : 단기 - 탄력적, 장기 - 비탄력적
③ 생산요소의 가격 : 생산량의 증가로 비용이 급격히 상승하면 공급량의 증가가 많지않다. ⇨ 비탄력적
④ 재화의 저장가능성 등 : 저장가능성이 작고, 저장비용이 클수록 공급탄력성 ↓
⑤ 부동산공급을 제한하는 규제가 강할수록 비탄력적이 된다.
6. 수요·공급의 탄력성 계산
1)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 계산 (최초값 기준)
[문제]
어느 지역의 오피스텔 가격이 4% 인상되었다.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.0이라면 오피스텔 수요량의 변화는? ( 단, 오피스텔은 정상재이고,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[해설]
① 2.0 = 수요량 변화율 / 4% ∴ 수요량 변화율 = 8% 감소(수요법칙에 따라 가격이 올랐으므로)
2) 수요의 가격탄력성 계산 (중간점을 기준)
[문제]
사무실의 월임대료가 9만원에서 11만원으로 상승할 때 사무실의 수요량이 108㎡에서 92㎡로 감소했다. 이 때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?
[해설]
① {16/(108+92)} / {2/(9+11)} = 0.08 / 0.1 = 0.8 (비탄력적)
7. 수요·공급의 변화에 따른 탄력성 ⇨ 비탄력적인 경우 가격변화율이 크다.
1) 수요가 증가할 때 ⇨ 가격상승
① 공급이 비탄력적 : 균형가격은 더 오르고, 균형거래량은 덜 증가
② 공급이 탄력적 : 균형가격은 덜 오르고, 균형거래량은 더 증가
2) 공급이 증가할 때 ⇨ 가격하락
① 수요가 비탄력적 : 균형가격은 더 하락하고, 균형거래량은 덜 증가
② 수요가 탄력적 : 균형가격은 덜 하락하고, 균형거래량은 더 증가
3) 수요·공급이 완전비탄력적인 경우 ⇨ 양은 불변, 가격은 변화
수요·공급이 완전 탄력적인 경우 ⇨ 양은 변화, 가격은 불변
① 수요가 증가, 공급이 완전비탄력적인 경우
: 양은 불변, 가격은 수요가 증가했으므로 상승
② 공급이 증가, 수요가 완전 탄력적인 경우
: 가격은 불변, 양은 공급이 증가했으므로 증가
* 에듀랜드의 공인중개사 강의와 서브노트를 참고하였습니다.
'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9 - 부동산 시장론 (0) | 2020.09.24 |
---|---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8 - 부동산 경기변동 (0) | 2020.09.24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6 - 수요와 공급 (0) | 2020.09.23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5 - 공급 (0) | 2020.09.23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4 - 부동산 경제론 (0) | 2020.09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