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5절 부동산경기변동 - 1문항
1. 일반경기변동
1) 경기변동의 개념
① 주기 : 경기의 저점에서 다음 저점까지의 거리
② 진폭 : 저점에서 정점까지의 높이
③ 경기의 순환과정 : 회복 + 상향 - 확장국면 / 하향 + 후퇴 - 수축국면
※ 디플레이션 :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. 인플레이션의 반대
※ 스태그플레이션 :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
2) 경기변동의 형태
① 추세변동 (장기변동) : 경제성장, 인구변화등으로 나타남. 50년 이상 주기
② 계절변동 : 주로 1년 주기로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단기적 변동. 대학가 주변 임대주택 등
③ 무작위적변동 : 천재지변, 부동산정책등으로 인한 급격한 변화에의해 발생
종류 |
키친 |
쥬글라 |
쿠즈네츠 |
콘트라티예프 |
한센(건축순환) |
주기 |
40개월 |
6~10년 |
20~25년 |
40~60년 |
17~18년 |
3) 경기변동의 유형
2. 부동산 경기변동
1) 의의 : 일반적으로 주택건축경기를 말한다.
2) 부동산 경기변동의 특징
① 일반경기보다 주기가 길다
② 순환국면이 불분명하고 뚜렷하지 않다.
③ 일반경기보다 진폭이 크다
㉠ 타성기간 : 부동산경기변동이 일반경기의 진퇴에 비해 뒤지는 시간차
④ 일반적으로 지역적, 개별적 경기의 양상을 나타낸다.
⑤ 회복국면은 완만하고 후퇴국면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.
3) 일반경기에 대한 경기순환 유형
① 전순환적 : 일반경기에 비해 앞서 진행 , 주식
② 후순환적 : 일반경기에 비해 뒤쳐져서 진행, 전체적인 부동산경기
③ 동시순환적 : 일반경기와 동시에 진행. 상·공업용 부동산경기
④ 역순환적 : 일반경기와 정반대 방향으로 진행. 주거용 부동산경기
4) 부동산경기의 측정지표
① 수요측면 : 거래량
② 공급측면 : 건축량(허가량, 착공량, 완공량)
③ 가격 : 간접적 보조지표
5) 부동산경기순환국면상의 특징★
① 회복
㉠ 부동산유통활동 : 초기 매수자중시, 시간경과 후 매도자중시
㉡ 과거의 거래사례가격 : 새로운 거래의 기준, 하한선
② 상향
㉠ 일반경기의 호황에 해당
㉡ 매도자중시
㉢ 하한선
③ 후퇴
㉠ 초기 매도자중시, 시간경과 후 매수자중시
㉡ 새로운 거래의 기준, 상한선
④ 하향
㉠ 일반경기의 불황에 해당
㉡ 매수자중시
㉢ 상한선
⑤ 안정
㉠ 부동산경기에만 존재, 별도의 지역시장
㉡ 부동산가격이 가벼운 상승을 유지하거나 안정되어 있는 시장
㉢ 위치가 좋은 적정 규모의 주택등이 대상
㉣ 과거의 사례가격 : 현재시점에서 새로운 거래가격의 기준
3. 거미집 모형
1) 의의 : 부동산경기의 특징을 설명 (수요와 공급의 시차)
2) 가정
① 금기수요량 = 금기가격, 금기공급량 = 전기가격
(공급자는 전기의 시장에서 성립한 가격을 기준으로 해서 금기의 생산량을 결정하고, 금기에 생산된 수량은 모두 금기의 시장에서 판매되어야 한다.)
② 현재의 수요결정은 현재가격에 의해, 미래의 수요결정은 미래가격에 의해 결정되며, 미래의 공급결정은 현재의 가격에만 의존한다는 것을 전제
3) 거미집모형의 안정조건
수렴형 |
수요의 가격탄력성 〉공급의 가격탄력성 |
수요곡선의 기울기〈 공급곡선의 기울기 |
|
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〈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|
|
발산형 |
수요의 가격탄력성〈 공급의 가격탄력성 |
수요곡선의 기울기 〉공급곡선의 기울기 |
|
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〉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|
|
순환형 |
수요의 가격탄력성 = 공급의 가격탄력성 |
수요곡선의 기울기 = 공급곡선의 기울기 |
|
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=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|
4) 거미집 이론은 필수재의 성격을 갖는 주거용부동산보다는 상업용이나 공업용 부동산에 더 강하게 나타난다.
* 에듀랜드의 공인중개사 강의와 서브노트를 참고하였습니다.
'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10 - 주택의 여과 (0) | 2020.09.25 |
---|---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9 - 부동산 시장론 (0) | 2020.09.24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7 -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(0) | 2020.09.23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6 - 수요와 공급 (0) | 2020.09.23 |
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합격노트 5 - 공급 (0) | 2020.09.23 |
댓글